지난 대담에서 예고한대로, 이번 모임에서는 2010년대 이후 듀나의 페미니스트 시각을 엿볼 수 있는 두 단편 「바쁜 꿀벌들의 나라」(2019)와 「찢어진 종잇조각의 … 더 보기
[카테고리:] Fwd 비평
[페미니즘 SF 함께 읽기] 7회_듀나, 「낡은 꿈의 잔해들」 & 「태평양 횡단 특급」
일 년 반여만에 페미니즘 SF 함께 읽기 연재가 돌아왔습니다. 이번 모임에서는 듀나의 초기 단편 「낡은 꿈의 잔해들」(1998)과 「태평양 횡단 특급」(2000)을 … 더 보기
“그게 되나 적당히 좋아하는 게” : 영화 〈성덕〉 대담
이번 Fwd 대담에서는 오세연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<성덕>을 보고 감상을 함께 나누어보았습니다. 2021년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최초 상영된 <성덕>은 올해 9월 … 더 보기
『치유라는 이름의 폭력』: 접힌 시간성에 가려진 장애인의 삶에 주목하기
희원 치유의 폭력성과 접힌 시간성 저자 김은정은 젠더 및 장애학 연구자이자 한국의 장애여성인권운동단체 ‘장애여성공감’의 회원이다. 그는 교차성, 트랜스내셔널한 여성주의 장애학, … 더 보기
퀴어와 비밀의 시간: 〈드랙x남장신사〉에 대한 중얼거림
팔도 1. 말해지지 않은 것 지난 6월, 서강대학교 메리홀에서 열린 <드랙x남장신사>의 마지막 회차 공연을 관람했다. 무대를 바라보며 줄줄 울었다. 마스크 … 더 보기
학술지와 에세이 사이, 페미니즘 담론 공간 만들기-페미니스트 연구 웹진 Fwd의 발자취-
🌙상상, 🍀싱두, 🐾하영 이 글은 제주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2022 학술교류제에서 필진 상상, 싱두, 하영이 발표한 것이다. 상상은 Fwd를 창간하기 위한 … 더 보기
당신의 최애의 몸은 전장
⁉️리예 1. 퀴어의 몸 만들어내기: 라이레이의 경우 2020년 7월, 모바일 롤플레잉 게임 《로드 오브 히어로즈》에 신규 캐릭터 라플라스가 추가되었을 때, … 더 보기
포스트 아포칼립스 영화와 가족의 낭만화
🎨윤소이 어째서 사람들은 더 이상 기존질서가 지속불가능할정도로 ‘망해버린’ 세계관에 환호하게 된걸까? 최근 개봉한 한국영화 중 연상호 감독의 <반도>와 조성희 감독의 … 더 보기
『죽은 백인 남자들이 다 그런 건 아니겠지』
✂️한태경 1. 들어가며 우리는 고전과 어떻게 관계 맺어야할까? 몇천년 전에 쓰여진 글은 지금까지도 살아남아 오늘날과 관계 맺는다. 그렇다고 모든 사람들이 … 더 보기
[2021 SIWFF] 쟁점들 〈불꽃페미액션: 몸의 해방〉 GV 대담
<불꽃페미액션: 몸의 해방>은 ‘여성의 몸은 무엇일까’라는 질문에서 시작하는 옴니버스 다큐멘터리입니다. <찌찌친구들>의 가슴해방시위를 통해 여성의 몸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, <My Body … 더 보기
[2021 SIWFF] 20주년 특별전 〈고양이를 부탁해〉 대담
올해로 23회를 맞는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팬데믹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,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동시에 상영되었습니다. Fwd 필진들은 지난 21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특집에 이어 23회 … 더 보기
[2021 SIWFF] 발견 〈애프터미투(#AfterMoToo)〉 대담
올해로 23회를 맞는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팬데믹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,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동시에 상영되었습니다. Fwd 필진들은 지난 21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특집에 이어 23회 … 더 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