희원 치유의 폭력성과 접힌 시간성 저자 김은정은 젠더 및 장애학 연구자이자 한국의 장애여성인권운동단체 ‘장애여성공감’의 회원이다. 그는 교차성, 트랜스내셔널한 여성주의 장애학, … 더 보기
[카테고리:] 서평
『죽은 백인 남자들이 다 그런 건 아니겠지』
✂️한태경 1. 들어가며 우리는 고전과 어떻게 관계 맺어야할까? 몇천년 전에 쓰여진 글은 지금까지도 살아남아 오늘날과 관계 맺는다. 그렇다고 모든 사람들이 … 더 보기
『임신중단에 대한 권리』: 임신중지 권리를 둘러싼 논쟁을 위하여
🌒김보영 서울에 있는 한 대학에 ‘Unborn lives matter’라고 쓰인 현수막이 내걸렸다. 조지 플로이드의 죽음으로 다시 한번 촉발된 미국의 ‘Black lives … 더 보기
『붕대 감기』: 그럼에도 연결되는 페미니즘‘들’을 꿈꾸며
🍀싱두 1. 어쩌면 평생 좋아할 수밖에 없을, 너무 다른 너와 나 책의 제목인 『붕대 감기』는 과거의 한 장면에서 포착된다. 아직 … 더 보기
『망명과 자긍심』: 기꺼이 모순(paradox)을 택하기
🌀파랑 페미니스트 객관성과 모순들 흔히 ‘모순’이라는 말은 어떤 사실의 앞뒤가 맞지 않거나 두 사실이 서로 대립하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쓰인다. … 더 보기
『까판의 문법』: 다시 권력형 성폭력을 이야기한다는 것
✂️한태경 1. 들어가며 세간의 인식과는 달리, 기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옅어질 뿐만 아니라 뚜렷해지기도 한다. 기억이 재구성 되기 위해 당사자에게 … 더 보기
『여성-되기』: 페미니스트로서 더불어사는 삶을 상상하기
🎨윤소이 1. 페미니스트로 존재한다는 것 ‘나’와는 너무도 다른 타자와 관계를 맺으며 함께 산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쉽지 않은 일이다. 타자를 알아가고 … 더 보기
『탈코르셋 : 도래한 상상』: 여성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탈코르셋 이야기
이가현(불꽃페미액션) 나에게는 이런 탈코르셋 이야기가 필요했다 탈코르셋 운동이 등장한 뒤, 여러 가지 한계와 비판지점들이 등장했다. 그중 가장 많은 사람에게 지적을 … 더 보기
『페미니즘 고전을 찾아서』: 페미니즘 대중화 시대의 학문 가이드
정민주 2015년, #나는_페미니스트입니다 해시태그를 시작으로 메갈리아의 탄생, 강남역 ‘여성혐오’ 살인 사건, #00계_내_성폭력, #미투, 낙태죄 폐지 등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‘페미니즘 … 더 보기